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화위복, 새옹지마, 가렴주구 뜻과 유래

반응형

전화위복, 새옹지마, 가렴주구 뜻과 유래

 

1. 전화위복

2. 새옹지마

3, 가렴주구


 

 

 


고사성어 전화위복의 한자어 뜻은 구를 전, 재앙 화, 될 위, 복 복입니다. 직역하면, 재앙이 변화되어 복이 된다는 뜻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중국 사마천의 사기에서 유래합니다. 사마천은 사기의 관안열전에서 관중과  안영이라는 사람들에 대해 평가하였습니다. 즉 이들이 화가 될 일을 복으로 만들어 일을 신중하게 잘 처리해 업적을 남겼다고 평했는데, 여기서 이 사자성어가 유해하고 있습니다. 

 

 

 

 


위의 전화위복과 비슷한 뜻을 가진 고사성어입니다. 고사성어 새옹지마의 한자어 뜻은 변방 새, 노인 옹, 어조사 지, 말 마입니다. 직역하면, 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이란 뜻입니다. 즉, 변방에 살고 있는 노인의 말에 얽힌 이야기라는 뜻인데, 복이 화가 되기도 하고 화가 복이 되기도 한다는 얘기, 다시 말하면, 인생은 돌고 돈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옛날에 중국 한 변방에 노인이 말을 키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키우던 말이 오랑캐가 있는 땅으로 도망을 가버렸습니다. 노인이 애지중지하며 키우던 말이었기에 동네 사람들이 와서 위로하였습니다. 그러자 노인은 별로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말했습니다. "나중에 이게 복이 될 줄 누가 압니까?" 얼마 후 도망갔던 말이 말을 한 마리 더 데니고 주인인 노인에게 찾아왔습니다. 동네 사람들은 경사가 났다고 난리를 피웠습니다. 그런데 노인은 별로 좋아하지도 않으며 이게 화가 될지 누가 아냐고 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이해할 수 없다며 고개를 저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노인의 아들이 말을 타다가 떨어져서 크게 다쳐 절름발이가 되어버렸습니다. 동네 사람들은 노인을 찾아와 위로하였습니다. 그러나 노인은 이 때에도 별로 마음에 충격이 없는 듯 말했습니다. 나중에 이게 복이 될 줄 누가 아느냐는 것이었습니다. 얼마 후 오랑캐가 쳐들어와서 동네의 모든 젊은이들이 전쟁터에 징집되어 다 전사하였습니다. 그러나 노인의 아들은 절름발이여서 징집에서 면제되었습니다. 이 노인의 말에 얽힌 삶이 유래가 되었습니다.

 

 

 

 


고사성어 가렴주구의 한자어 뜻은 가혹할 가, 거둘 렴, 칠 주, 구할 구입니다. 직역하면, 가혹하게 거두고 무리하게 구한다는 말입니다. 즉, 과거에 중국 춘추시대에 백성들로부터 가혹하게 세금을 거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가렴은 구당서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당나라 헌종 시대에 황보박이라는 재상이 백성들로부터 가혹하게 조세를 거두었습니다. 그래서 백성들의 원성이 자자해서 헌정이 그를 재상에서 물러나게 했다는 말이 적혀있습니다. 주구는 춘추좌씨전에서 유래합니다. 그 당시 정나라는 강대국들 사이에 끼여 있어서 많은 조공을 바쳐야 해서 백성들로부터 강제로 조세를 거두었다고 적혀있습니다. 여기서 주구가 유래합니다.

이 가렴과 주구가 합쳐져서 쓰여지기는 공자로부터 유래합니다. 유교 경전 예기에 나오는 일화입니다. 어느 날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마을을 거닐던 중 한 여인이 구슬프게 울고 있는 것을 보고 다가가 왜 우느냐고 물었습니다. 얼마 전 시아버지와 남편이 호랑이에게 물려 죽었는데, 또 자기의 아들마저 호랑이에게 해를 당해 죽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 왜 이곳을 떠나지 않느냐고 물었습니다. 그 여인은 가렴주구가 없기 때문이라고 대답했습니다. 공자가 제자들에게 말했습니다. 호랑이보다 가렴주구가 더 무서운 것이니라.

 

2020/12/26 - [분류 전체보기] - 마이동풍, 견원지간, 와신상담의 뜻과 유래

2020/12/24 - [분류 전체보기] - 탈룰라 뜻과 유래

2020/12/23 - [분류 전체보기] - 가불기 뜻 (신조어)

2020/12/22 - [분류 전체보기] - 뇌피셜 뜻과 유래 알아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