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망양, 한단지보, 백가쟁명의 뜻과 유래
1. 다기망양
2. 한단지보
3. 백가쟁명


고사성어 다기망양의 한자어 뜻은 많을 다, 갈림길 기, 잃을 망, 양 양입니다. 직역하면, 갈림길이 많아 양을 잃어버리다입니다. 이 고사성어의 유래는 열자 설부편입니다. 여기서 중국의 개인주의 사상가인 양자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어느 날 양자의 이웃집에서 양 한 마리를 잃어버려 식구들 뿐만 아니라 하인들까지 나서서 잃어버린 양을 찾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양자가 왜 이리 많은 사람들이 나서서 양을 찾고 있느냐고 물었습니다. 하인이 대답하기를 "여러 갈래의 길이 있어서 사람들이 나누어 찾고 있습니다." 한참 후에 사람들이 돌아오고 있어서 양자가 양을 찾았느냐고 물었습니다. 사람들은 길이 여러 갈래여서 양을 찾지 못했다고 대답했습니다.
이에 양자는 갑자기 우울한 표정을 지었고 하루 종일 얼굴이 굳어 있었습니다. 그러자 제자들이 물었습니다. 그래도 양자는 대답하지 않고 계속 우울한 얼굴을 하고 있었습니다. 나중에 양자는 제자들에게 대답했습니다. "큰 길에는 갈림길이 많아 양을 잃듯이 학문에도 여러 갈래가 있어 끝이 다른데 결국 학문의 근본은 하나인데 방법이 다를 뿐이다. 결국 학문의 근본으로 돌아가면 얻을 것이 없는 것과 같다." 사실 제자들이 이 말을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이 사자성어의 의미는 여러 갈래의 길에서 헤매지 말고 근본 목적을 알아서 그 길을 정진해나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고사성어 한단지보의 한자어 뜻은 땅이름 한, 조나라 서울 단, 어조사 지, 걸음 보입니다. 직역하면 한단의 걸음걸이입니다. 즉, 어느 젊은이가 한단 사람들의 걸음걸이를 흉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말은 남을 흉내 내는데 치중하다가 배우지도 못하고 본인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린다는 것입니다.
이 사자성어는 중국 전국시대에서 유래합니다. 당시 한단은 발전한 조나라의 수도였습니다. 연나라의 한 젊은이가 발전한 조나라의 수도에 도착하였습니다. 그 젊은이는 거기서 발전한 한단의 모든 것에 눈이 휘둥그레졌습니다. 특히 한단 사람들의 걸음걸이가 세련돼 보였습니다. 그래서 그는 그 걸음걸이를 배우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노력해도 잘 되지 않아 결국 포기하고 고향으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젊은이가 자신의 걸음걸이를 잊어버려 우스꽝스럽게 걷게 되어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었다는 얘기입니다.


고사성어 백가쟁명의 한자어 뜻은 일백 백, 집 가, 다툴 쟁, 울 명입니다. 직역하면 백 채의 집이 서로 다투며 운다는 뜻입니다. 즉, 수많은 사람들이 서로 자신의 의견을 펼치며 논쟁한다는 말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는 춘추전국시대에 있습니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는 역사상 유래 없을 정도로 수많은 국가, 사상, 문화, 영웅들이 일어났습니다. 그만큼 다양한 학문과 사상(철학)이 일어났지요. 이런 사상가들을 제자백가라 칭했습니다.
대표적인 사상의 학파를 들자면, 공자의 유가, 노자와 장자의 도가, 한비자와 순자의 법가, 묵자가 중심인 묵가 사상입니다. 그중에 우리나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상이 공자의 유가 사상이지요. 그러나 결국 춘추전국시대를 종결짓고 통일한 나라인 진은 법가 사상을 기용했습니다.
2020/12/28 - [분류 전체보기] - 오마주 뜻과 유래
2020/12/27 - [분류 전체보기] - 전화위복, 새옹지마, 가렴주구 뜻과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