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타비, 감탄고토, 수구초심 뜻과 유래
1. 아시타비
2. 감탄고토
3. 수구초심
아시타비는 고사성어가 아니라 2020년의 올해의 사자성어로 교수들에 의해 지어진 단어입니다. 아시타비의 한자어 뜻은 나 아, 옳을 시, 저이 타, 아닐 비입니다. 직역하면, 나는 옳고 남을 그르다는 뜻입니다. 나는 맞고 다른 사람은 틀리다는 말입니다. 신조어 내로남불과 같은 뜻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란 의미입니다. 2020년의 정치판을 빗대어하는 말입니다. 즉, 자기당은 무조건 옳다고 우기면서 관대하고, 다른 당은 무조건 틀리다고 하며 비난하는 정치풍토를 풍자하는 사자성어입니다.
2019년의 사자성어로는 공명지조가 선정되었었습니다. 직역하면 공동 운명의 새라는 뜻인데요. 옛날 전설의 새 중에 머리가 두 개인 새가 있었는데, 한 몸에 머리가 두 개이니 서로 싸운다면 죽게 된다는 것이지요. 이 사자성어도 2019년의 정치판을 풍자하여 지은 단어인데요. 그만큼 요즘 정치판이 국민들이 보기에 추하다는 의미겠지요.
고사성어 감탄고토의 한자어 뜻은 달 감, 삼킬 탄, 쓸 고, 토할 토입니다. 직역하면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자신에게 이로울 때는 상대방에게 잘 대해주고, 이롭지 않을 때는 상대방을 버린다는 의미입니다. 뒤 간에 갈 때 마음이 다르고 올 때 마음이 다르다는 속담과 비슷한 뜻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정약용이 속담을 엮어 지은 이담속찬에 감탄고토가 유래합니다. 여기서 정약용은 감탄고토의 뜻을 이전에 달게 먹던 것도 이제는 쓰다고 뱉는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마음이 달라져서 과거에는 좋아하던 것을 이제는 싫어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고사성어 수구초심의 한자어 뜻은 머리 수, 언덕 구, 처음 초, 마음 심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구릉 쪽에 두고 죽는데, 이것을 표현한 말입니다. 즉, 이 사자성어는 자기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단어입니다. 즉, 자신의 근본을 잊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사자성어는 중국 예기에서 유래했습니다. 강태공 여상은 자기를 알아주는 왕이 없을 때 강에서 낚시를 하며 지냈었습니다. 그런데 그를 알고 찾은 사람은 바로 주나라 무왕이었습니다. 강태공은 주나라 무왕과 문왕을 섬길 때, 은나라를 무너뜨리고 주나라를 일으켜 제상으로 지냈습니다. 그런데 그는 자신의 고향을 그리며 수구초심이란 말을 사용했습니다.
즉, 그는 주나라 무왕과 문왕을 섬기기 위해서 타향에서 지냈지만, 항상 고향을 그리는 마음을 갖고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현재 해외로 이주해서 많이 살고 있지요. 물론 해외에서 사는 것도 나름 의미가 있고 재미있지만 나이 들면 고국을 그리워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나이들면 다시 귀향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01/20 - [분류 전체보기] - 신조어 이얼사, 애빼시, 내또출 뜻
2021/01/11 - [분류 전체보기] - 다기망양, 한단지보, 백가쟁명의 뜻과 유래